본문 바로가기

창조적 기법

위트의 리더 윈스턴 처칠...위트는 창조다

  

[‘위트의 어원으로 찾아본 위트의 진정한 정의]

[윈스턴 처칠이 보여준 언어의 창조적 기법]

 

언어에 끌려가는 사람이 있고, 언어를 끌고 가는 사람이 있다.

 

전자의 모습은 애석하게도 어느 국내 정치인의 연설에서 느꼈다.

 

전혀 몰입이 되지 않았다. 스스로 자신의 연설문을 장악하지 못하고 있었다. 딱 봐도 보좌관이나 비서가 써 준 문장을 기계적으로 암송하고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었다. 이래서는 국민이 감화 받을 수 없다. 자기 자신이 언어의 주인이 아닌데, 그 언어로 쓰인 정책을 이렇게 저렇게 공약한다는 것은 자기기만이자 언어도단이었다. 이런 정치인들 우리는 쉽게 본다.

 

후자의 모습은 주로 뛰어난 작가에게서 발견할 수 있다. 정치인도 있다. 애석하게도 국내 정치인은 아니다.

 

윈스턴 처칠이다.

 

그는 언어를 끌고 가는 대표적인 사람이었다.

 

처칠은 연설의 철학에 대해 아래와 같이 간명하게 정의했다.

 

청중을 감정으로 설득하고 통찰력을 제공하려면 연사 자신이 자기감정에 스스로 동요되어야 한다. 청중의 의분(義憤)을 불러일으킬 때 그의 가슴은 분노로 가득 차 있어야 하고, 청중이 눈물을 흘리게 하려면 그 자신이 먼저 눈물을 흘려야 한다. 또한 청중에게 확신을 주려면 연사가 먼저 스스로를 믿어야 한다.”

 

이 말은 여러 가지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언어가 만드는 감정의 일치를 이야기하고 있지만 더 세부적으로 보면 감정 이전에 언어를 자신에게 일치시키고 있다. 언어의 뜻을 그대로 행동해야 한다는 언행일치는 좁은 해석이다. ‘언어의 존재자체를 스스로에게 이입시키고 있다는 것이 가장 주목할 만한 점이다. 처칠이 말한 청중의 확신이 스스로의 확신에서 나온다는 것은 자기 자신이 구사하고 이입시킨 언어를 믿는다는 것과 다른 말이 아니다.

 

언어의 존재가 자신에게 이입될 때 자신이 언어를 끌고 가게 되고, 그때 말과 언어를 가지고 노는 수준까지 이를 수 있다. 여기서 나오는 것이 위트.

 

처칠은 많은 사람들에게 위트의 리더로 알려져 있다. 순간적인 재치와 기지의 말로 사람들을 움직이고, 적절한 유머로 분위기를 이끌었다.

 

싱크탱커는 위트를 자유자재로 쓰는 사람이 가장 부럽다. 위트는 가볍게 볼 단어가 아니다. 단순히 사람들을 순간적으로 시시덕거리게 한다는 가벼운 농담으로 격하시킬 성질 또한 아니다. 위트를 잘 사용한다는 것은 언어의 가장 높은 차원에 이르렀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그런데 도대체 위트가 뭘까.

 

 

 

 

 

한국어에는 없는 단어다. 위트? 위트를 정의하라고 하면 뭔가 알듯한데 정작 말문이 막힌다. 재치? 유머? 기지?

 

국어사전에는 위트(Wit)라고 아예 영어로 쓰여 있고, ‘말이나 글을 즐겁고 재치 있고 능란하게 구사하는 능력이라고 되어있다. 이해는 갔지만 아직은 석연치 않았다. 그래서 영어어원사전을 찾아보고 나서 실마리를 얻게 됐다.

 

놀랍게도 위트의 어원은 다름 아닌 “Mental capacity”였다. ‘정신의 저장고뇌의 캐파(수용량)’와 다르지 않았다. 역시 위트는 태생적으로도 우습게 볼 단어가 아니었다. 달리보이기 시작했다. 바로 지적(知的) 탱크가 위트였다!

 

조금 더 위트의 정체를 파고 들어가 보니 1540년경에 처음 쓰인 언어였다. 그리고 당시 위트의 뜻은 “ability to connect ideas and express them in an amusing way” , 아이디어를 연결하고 재미있게 표현하는 능력으로 정의하고 있었다.

 

위트가 아이디어의 연결? 쇼킹하게도 <창조의 재료탱크>에서 수 십 차례 언급했던 창조는 결합이다에 거의 일치하는 정의가 위트의 뜻에 녹아있었던 것이다.

 

역사적으로도 이해가 갔다. 위트가 탄생한 16세기가 어떤 시대인가. 14세기부터 시작된 르네상스가 붐을 거쳐 마지막을 향하는 시기였다. 르네상스는 신 중심의 사상과 봉건 제도로 개인의 창조성을 억압하던 중세에서 벗어나 문화의 절정기를 맞았던 시대다. 인류의 삶에 큰 영향을 끼친 위대한 르네상스 3대 거장인 레오나르도 다빈치,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 라파엘로 산치오가 모두 15세기 후반에서 16세기 초반을 살았던 시대다.

 

위트의 탄생 시기는 다름 아닌 르네상스 창조의 시대였다. 왜 위트의 어원이 “ability to connect ideas”인지를 깨닫게 되었다. 어원과 역사의 발자취를 찾아보고 난 뒤 그래서 나는 위트를 다음과 같이 아주 짧고 명확하게 정의할 수 있었다.

 

위트는 창조다

 

생각과 아이디어를 연결할 때 창조와 창의성이 발현된다. 언어와 또 다른 언어의 개념이 연결될 때 창의성이 발현되고 위트가 터져 나온다. 그 표현 방법이 재미있는 방식이라면 더욱 위트의 백점짜리 정의에 부합하게 된다. 창의성이 없다면 위트도 없다.

 

처칠은 이런 위트의 크리에이터이자 언어의 크리에이터였다. 그냥 얻어진 것은 아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어린 시절부터 쌓아온 처칠의 노력을 언급한 적이 있다.

 

2015/04/15 - [창조적 기법] - '처칠, 나의 청춘기', 따분함은 모든 것을 말한다!

 

오래전에 예고했던 대로 이번에 그 위트의 실례를 도미니크 엔라이트 저서 <위트의 리더, 윈스턴 처칠>(임정재 옮김, Hantz)을 통해 몇 가지 살펴보자. (참고로 이 책은 처칠 언어 사용의 재료탱크이다. 추천할 수밖에 없는 책이다.)

 

(사진= <창조의 재료탱크> ThinkTanker)

 

처칠의 알려진 일화 가운데 지퍼와 새장 사건이 있다.

 

처칠이 공식적인 자리에서 바지 지퍼가 열렸다는 것을 지적받게 됐다. 처칠의 위치에 있는 사람이 남대문이 열렸다는 것을 남에게 지적받는 것은 매우 당혹스럽고 수치스러운 상황이다. 민망하다. 보통 사람이면 말없이 부끄럽게 뒤돌아서서 손가락으로 지퍼를 올린다. 그러나 그는 아래와 같이 바로 대꾸했다.

 

죽은 새는 새장 밖을 나갈 수 없는 법이니까 걱정하지 마세요.”

 

이게 도대체 뭔가. 어떻게 이런 사고를 할 수 있었을까. 남대문이 열렸는데 순간적으로 이런 언어를 어떻게 뇌에서 만들어 낼 수 있었을까.

 

놀라운 비유 3가지가 한 문장으로 압축됐다. ‘죽은 새’, ‘새장 밖도 놀랍지만 마지막에 걱정하지 마세요가 압권이다. 만약 여자가 남자에게 지퍼 지적을 했을 때 되돌려주는 걱정하지 마세요는 고차원 비유의 결정판이다.

 

굳이 여기서 죽은 새가 무엇이며, 그 새가 새장 밖을 나갈 수 없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말하지는 않겠다. 말하지 않아도 우리는 모두 안다. 그리고 자연스럽게 입 꼬리가 올라가지 처칠을 격 떨어지는 음담패설가로 기억하지 않는다. 위트는 이런 것이다.

 

또 있다.

 

아름다운 여인을 여전히 비난할 수는 있겠지만 실제로 그리 쉽지만은 않습니다. 그녀는 여전히 아름답고 비난은 소용이 없기 때문입니다.”

 

아내를 설득해서 나와 결혼하게 만든 것처럼 내 생애에서 뛰어난 업적은 없습니다.”

 

이건 어떤 의미에서 완전히 작업용 멘트다. 카사노바의 언어다. 남자의 심리를 밑바닥까지 꿰뚫어보고 있다. 첫 번째 멘트는 동어반복과 자가당착을 이용했다. 모순된 의미를 스스로 규정해놓고 의미를 강조했다. 객체가 미녀이기 때문에 남자들은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두 번째 멘트는 모든 남자들이 모든 여자들에게 쓸 수 있는 전 지구인의 애정 공통어다. 아내, 여자친구, 결혼, 연애 등 단어의 변신은 무궁무진이다.

 

언어가 로봇의 팔다리처럼 자유롭게 탈부착이 가능하다는 이야기는 적용 가능성이 높다는 것과 다름 아니다. 언어가 적용 가능성이 높다는 말은 처음부터 다양한 사고의 연결 가능성이 높다는 것과 다름 아니다. 그러면서도 의미는 하나로 수렴한다. “당신과의 결혼이 내 생애에서 가장 뛰어난 업적이다.” 이 말이 설사 허언처럼 들려도 기분나빠할 여자는 많지 않다. 위트의 힘이다.

 

이외에도 여러 가지가 있지만 마지막으로 하나만 더 언급해보자.

 

여성 국회의원 낸시 애스터와 벌인 설전이다. 신랄한 논쟁을 펼치다가 애스터는 처칠을 향해 아래와 같은 독설을 날렸다.

 

당신의 아내였다면 저는 당신의 커피에 독약을 넣었을 것입니다.”

 

처칠이 대답했다.

 

낸시 여사, 당신의 남편이었다면 저는 그것을 마셨을 겁니다.”

 

상대의 비유를 그대로 이용하며 되돌려주면서 의미를 끝장냈다. 아내가 남편을 해하기 위해 독약을 넣은 커피를 건넸다. 그런데 남편은 알면서도 그 독약 커피를 마시고 죽었다. 아내라는 존재를 철저히 증오했다는 것을 죽음으로 알리면서 완결시켰다. 더 이상 아내는 죽은 남편을 붙잡고 재 반격할 여지조차 없다.

 

 

처칠은 결합사고의 뛰어난 능력자였다. 소년기와 청년기 엄청난 독서를 했으며, 영국 문장의 필수 구조를 송두리째 외워버릴 정도로 언어를 뇌에 축적했다. 그림과 발명에도 뛰어났다. 뇌의 캐파가 다양한 개념을 유연하게 연계할 정도로 확장됐고 이 과정에서 주옥같은 위트의 명언을 탄생시켰다.

 

그는 기본적으로 삶을 쉽게 보지 않았다. “운 좋게도 삶은 그 모든 것처럼 쉽지 않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는 급하게 생을 끝내야 한다라는 시각은 어려운 삶 속의 끊임없는 노력을 강조한다. 그러면서도 특유의 유머와 긍정적 태도를 잃지 않는다. 삶이 쉽지 않다는 것이 오히려 운이 좋다고 여기고 있기 때문이다. 급하게 생을 끝내지 않기 위해서 처칠은 다양한 활동을 하며 크리에이터의 삶을 살았다.

 

지나간 시간의 흐름에 구속되는 일은 없었다. 눈은 언제나 다가올 시간을 향했다. 그래서 그는 말년에 아래와 같은 말을 남겼다.

 

과거와 현재가 싸움을 벌인다면 미래를 잃을 것이라는 점을 확신합니다.”

 

그렇다. 미래를 잃는 가장 좋은 방법은 현재 내가 서 있는 시간에서 의미 없이 과거를 되돌아보는 것이다.

 

By ThinkTanker (Copyright. <창조의 재료탱크> All Rights Reserved)